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비에스
- ★★★★★
- ★★★★☆
- 학생 식당
- Dance of the Sugar Plum Fairy
- Might and Delight
- ★★☆☆☆
- EBS Docuprime
- 학식
- 함지마루 식당
- Runestorm
- 세바시
- How to Survive
- 게임評
- ClockStone
- Ted
- ★★★☆☆
- ★☆☆☆☆
- Owlchemy Labs
- EBS
- Jack Lumber
- 연애
- Sang-Wook Ha
- Puppy Games
- 다큐프라임
- 옛날 도시락
- 한국 영화
- 학생식당
-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 하상욱
- Today
- Total
목록영상評 (23)
돌고래의 評生
· 키워드 : 나의 매력, 남이 보는 나, 진정한 미, 아름다움 · 돌고래의 한 마디 : 당신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아름답다. · 돌고래가 말한다 : 친구의 소개로 알게된 광고이다. 자기 자신에 대해서 평가를 할 때에 우리는 자신의 못난 점에 대해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 영상은 '외모'에 관한 생각의 차이를 통해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 내용은 더 확장할 수 있다. 외모 뿐 아니라 자신의 행동, 자신의 모습 등에 관해서 스스로를 평가할 때는 미흡한 것이 눈에 띄고 불완전해보이고 그러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것이 남들 눈에 비칠 때는 꽤 다르게 비쳐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나 역시도 내가 행한 것이 못나다고 느낄 때도 있고 부족한 부분이 불만족스러울 때가 있지..
· 강연자 : 김영하 (소설가) · 키워드 : 글쓰기의 힘, 논리, 변화, 축적, 해방 · 돌고래의 한 마디 : '글을 쓴다는 것은 살아있다는 것이다.'라는 말이 인상적이다. · 돌고래가 말한다 : 나도 현재는 글쓰기를 좋아하고 내 글을 남들이 읽어주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하지만 언제부터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다. 초등학교 때와 중학교 때는 주로 그림, 만화 그리는 것을 좋아했는데 고등학교로 진학하면서는 갑자기 그림 그리는 것과는 거리가 멀어졌고 대신 학교에서 진행했던 독서 토론 수업과 논술 수업 덕분에 책 읽기와 글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 같다. 가장 처음에 독서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던 그 책을 아직도 기억하는데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파피용'이었다. 독서 토론의 주제 도서였는데 그냥..
· 강연자 : 구본준 (한겨레신문 기자) · 키워드 : 글쓰기의 힘, 논리, 변화, 축적, 해방 · 돌고래의 한 마디 : '글을 쓴다는 것은 살아있다는 것이다.'라는 말이 인상적이다. · 돌고래가 말한다 :
· 강연자 : 김창옥 (서울여대 기독교학과 겸임교수) · 키워드 : 위로, 여정, 인정, 치유, 삶 · 돌고래의 한 마디 : 나를 되돌아보고 위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 돌고래가 말한다 : 이번 강의의 연사인 김창옥 교수 자신이 실제로 겪었던 일을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서 더욱 와닿는 것 같다. 이곳에도 이 분 강의를 여럿 올렸는데, 그냥 재미있게 풀어나가서 참 대단한 재주가 있구나 하고 생각을 했는데 그 기반에 이런 다른 수고가 있고, 괴로움이 있었을 줄은 몰랐다. 밝고 재미있는 사람들의 속은 밝기에 대비되는 만큼의 어둠을 갖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나 역시도 겉으로는 꽤 밝은 모습을 지니려고 노력하는 면이 있는데 참 공감도 되고 마음에 다가온다. 가끔씩 힘이 들 때..
· 강연자 : 김현유 (구글 상무, 구글 TV 사업 제휴 팀장) · 키워드 : 채워나감, 설계, 자신감, 꿈, 계획, 행동 · 돌고래의 한 마디 : 꿈을 설계하고 실행해나간다는 것은 정말 멋진 일이다. · 돌고래가 말한다 : 나도 현재 내 꿈의 실현하는 하나의 기초 단계로 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지만 정말 이 강연을 보며 큰 힘이 나는 것 같다. 꿈이 있기 때문에 자신감 넘치고 그것을 이뤄가고 있기 때문에 빛나보이는 강연이었다. 막힘 없이 논리가 진행되는데, 정말 멋지고 나도 서둘러 꿈의 설계를 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무언가 방향을 잃은 것 같을 때 다시 보면 정말 좋을 것 같아 공유를 해둔다.
· 강연자 : 김태훈 (팝 칼럼니스트, 방송인) · 키워드 : 연애, 김태훈, 차이, 이해, 사랑 · 돌고래의 한 마디 :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오해하지 않을 수 있다면 정말 좋지 않을까? · 돌고래가 말한다 : 두 성별의 차이 때문에 빚어질 수 있는 갈등에 대해 잘 짚어준 강의이다. 생각의 과정에 차이가 있음을 아주 작은 부분부터 살펴보다가 그 차이를 고려해 어떻게 화해를 해야하는지 이야기를 한다. 언젠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이렇게 공유를 해둔다.
· 강연자 : 김태훈 (팝 칼럼니스트, 방송인) · 키워드 : 연애, 김태훈, 환상 · 돌고래의 한 마디 : 환상의 모순을 현실적으로 깨닫고 현실에 만족하는 시선을 갖기. · 돌고래가 말한다 : 적절한 때에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각자의 오해와 착각을 해소할 수 있고, 이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줄 수 있는 강연이라고 생각된다. 가끔씩 생각날 때 보면 정말 도움이 될 것 같아 이렇게 공유를 해둔다.
· YouTube의 소개글 : 학교 다닐 때 놀던 애였는데 지금은 잘 살아. 맞아 맞아. 가끔 동창모임에 나가면 심심치 않게 들리는 대화 내용입니다. 왜 그럴까요? 매사에 성실하고 일탈과는 멀었던 그녀는 왜 아직도 혼자일까요? 모범생으로 칭찬이 자자했던 그녀의 연애와 결혼 생활은 왜 그리 힘들기만 할까요? 연애도 사랑도 결국은 공감과 소통의 문제입니다. 여러분이 지금 왜 혼자인지 그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강연자 : 김창옥 (서울여대 기독교학과 겸임교수) · 키워드 : 감수성, 연애, 공감, 소통, 삶의 언어 · 돌고래의 한 마디 : 일단 너무 재밌다. 재미 역시도 소통의 기술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 돌고래가 말한다 : 인간 관계의 중심에는 감수성이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통을 해야 관계가 개..
· 키워드 : 코드, 표현 방법, 표현 수단 · 돌고래의 한 마디 : '코드'도 하나의 언어로서 생각의 표현 수단이 될 수 있지 않을까? · 돌고래가 말한다 : 내 꿈과 관련된 강의여서 듣게 되었는데, 정말 유의미한 내용이다. 이미 다가와서 진행 중인 오늘 날의 시대에는 IT 산업 쪽이 아무래도 잠재성이 크고 유망하다. IT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인터넷과 전자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일텐데, 이들을 구성하는 언어 역시도 하나의 '제 2외국어'처럼 대우받아야하는 때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나도 나의 생각을 하나의 '게임'을 만들어 표현하고픈 꿈이 있어 더욱 이 강의가 공감이 된다. 물론 무작정 지금의 교육 과정에 당장 '코딩'을 집어넣자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의 교육 과정과 철학은..
· 키워드 : 연결, 초연결, 공감, 갈등, 소통, 평범 · 돌고래의 한 마디 : 공감에 관하여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 · 돌고래가 말한다 : 요즘 뜨고 있는 이른바 'SNS 시인' 하상욱의 TED 강연을 공유해본다. '연결'과 '공감'에 관한 강의인데 이를 통해 내 생각을 한 번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 키워드 : 두려움, 도전, 재미 · 돌고래의 한 마디 : 나도 재미로 해봐야겠다. · 돌고래가 말한다 : 개인의 도전 정신, 개척 정신 등이 중요시되는 요즘의 시대에서 '도전'에 대한 생각을 달리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도전이 되면 그 행동이 좀 더 무게감을 갖게 되고,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재미'로 하는 것이 지속하기에, 즐기기에도 낫지 않나 하는 사고의 전환을, 강사는 권하고 있다. 요즘 SNS 시인으로 뜨고 있는 하상욱 씨가 한 강의이기 때문에 주제를 먼저 보기보다 강사의 이름을 보고 들어보게 되었는데, 내게 중요한 생각의 씨앗을 마련해준 것 같다. 강의의 전체 주제가 '두려움'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도전과의 관계를 넘어서 여러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무언가를 하기에 앞서 현재 두렵고 ..
· 키워드 : 이야기, 이야기의 힘, 스토리, 스토리텔링 · 돌고래의 한 마디 : '이야기'가 개인의 중요한 일부분이 된 시대에서 그 힘을 알아보자. · 돌고래가 말한다 : 요즘 이야기 자체도 일종의 스펙으로 자리잡아 너도 나도 자신의 이야기를 가꾸기에 바쁜 모양이다. 개인적으로 그런 '트렌드'가 썩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자연스레 배어나오는 개개인의 개성과 가치관, 삶의 궤적이 담긴 그런 이야기가 아니라 하나의 수단으로써의 이야기로 변질되어가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어쨌든 이런 시대적 흐름이 아니더라도 한 사람에게 있어 이야기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하는 생각이 든다. 이야기는 고유하다. 같은 사건을 바라봐도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것이 다르고 생각하는 것이 다른 것처럼 어떤 이의 이야기는 다른 누구와는 ..
· 키워드 : 편지, 공유, 전달, 기록 · 돌고래의 한 마디 : 편지 쓰는 것의 기쁨을 만끽해보자! · 돌고래가 말한다 : 글을 쓰는 것 역시도 좋아하지만 글씨를 쓰는 것 역시도 좋아하는 나이기 때문에 종종 공책에도 이것 저것 쓰는 것을 즐긴다. 편지 쓰는 것 역시 거리낌이 없는데, 물론 쓸 기회가 많지는 않아서 자주 쓰지는 않는다. 그래도 군에 있을 때는 같이 군에 복무하는 다른 친구들에게 직접 써서 보내기도 하고 자주 그랬었다. 사회에 있는 후배들에게도 보내고 학원에서 가르쳤던 제자들에게도 보냈었다. 희한하게도 쓰기 시작하면 2~3장 정도는 너끈히 분량이 나와서 잔뜩 적어서 보내주곤 했다. 나중엔 누구에게 어떤 내용을 보냈는지 헷갈릴 정도였다. 아무튼 이렇게 편지에 관한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발견해서..
· 키워드 : 남과 여, 차이, 다름, 공존 · 돌고래의 한 마디 : 양성 간의 차이를 긴밀하게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 · 돌고래가 말한다 : 각종 학문에 관한 강의, 여러 동기 부여가 될 만한 강의들 역시 훌륭하지만 '우리'가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이런 다큐멘터리 자료 역시 뜻 깊고 유용할 것 같아서 공유해둔다. 총 열 여덟 편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짧게 짧게 하나씩 볼 수 있어서 좋을 것 같다.
· 키워드 : 문신, 불멸성, 기록, 빅데이터, 사생활 · 돌고래의 한 마디 : 빅 데이터의 시대라고 불리는 요즘의 시대에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 돌고래가 말한다 : 각종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무선 인터넷 망 역시도 무척 발달한 요즘이다. 이런 배경에서 나타난 새로운 서비스들도 정말 많은데, 그 중 아무래도 개인 간의 격차 없이 가장 널리 퍼진 신 서비스는 SNS가 아닐까 생각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런 서비스들이 무료로 제공되는 데에는 당연히 어떤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런 서비스의 숨겨진 목적의 이유 뿐 아니라 개인으로서도 자신의 기록이 인터넷의 모든 정보가 초기화되지 않는 한 반영구적으로 어떻게든 남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인터넷 생활을 할 때에 있어 좀 더 주의를 해야 하지 않을까 ..